도서정보

- 저자 : 전현태
- 등록일 : 2012-02-21
- 출판사 : 좋은책만들기
- 출판일 : 2011-10-19
- 공급사 : 우리전자책
-
지원기기:
제목 :
오셀로와 데스데모나, 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심리학, 삶의 거울 희곡에서 자 기치유의 길을 찾다 |
|
| |
|
|
| |
형태
XML용량
714k
대출현황
대출가능
예약현황
예약 (0)
작품 소개
모든 문학작품에는 우리네 인생이 담겨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내적?외적 삶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희곡은 삶에서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마련인 갖가지 갈등과 고민, 상처, 불안, 그리고 해결과정 등이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되어 있어서 적나라하리만큼 솔직한 인간 군상(群像)을 만날 수 있다. 또한 희곡은 화려한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가면 따윈 없이 오직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사를 통해 절절한 인생을 보여주기에 영화가 주는 이미지의 화려함이나 환상의 구현과는 달리 눈앞에서 펼쳐지는 현실의 생생함으로 우리의 마음을 강하게 움직인다. 때론 내면에 숨겨둔 비밀스러운 감정들이 대신 흘러나오고, 또 때로는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던 삶의 소중한 가치들이 한마디 대사로 전달되기도 하면서 희곡은 우리의 잠들어 있던 의식을 깨워놓는다.
이렇게 깨어난 촉수들로 의학박사이자 정신과 전문의인 저자는 『오셀로와 데스데모나, 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에서 동서양을 망라한 16편의 유명한 희곡을 심리학과 접목시켜 <자아>, <소통>, <사랑>, <인생>이라는 네 가지 레시피로 상차림했다. <심리학, 삶의 거울 희곡에서 자기치유의 길을 찾다>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책은 <내 안의 잠든 나를 깨워라-잃어버린 자아 찾기>,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길을 잃다-타인과의 소통 부재>, <사랑에 웃고 우는 삐에로는 외롭다-사랑에 얽매인 상처>, <자신만의 인생 템포와 리듬을 만들어라-보다 나은 인생을 위하여> 등 네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장에는 막심 고리끼의 <밤주막>,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입센의 <인형의 집>,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 테네시 윌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몰리에르의 <수전노> 등 각각 네 편의 희곡이 실려 있다. 그리고 각 편은 다시 희곡의 줄거리를 요약한 <이야기 속으로>, 등장인물들의 캐릭터를 분석한 <캐릭터로 보는 이야기>, 그 이야기를 통해 집단심리치료, 현실요법, 공감훈련법, 변증법적 행동치료, 영혼을 일깨우는 12단계 치료법, 기적질문, 의사교류분석, 부모효율성훈련 등의 치유법을 제시하는 <이야기 속 발견>, 정신과 의사와 희곡 속 등장인물들이 대화를 주고받으며 흥미롭게 치유의 길을 찾아가는 <정신과 의사, 캐릭터에게 치유의 길을 안내하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부분은 이 모든 해법을 바탕으로 한 카운슬링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저자 소개
전현태(저자) : 정신과 전문의. 의학박사. 대학만 가면 하고 싶은 것 다 할 수 있을 거란 회유에 이끌려 일단 대학부터 들어갔으나 하고 싶은 게 뭔지 잘 몰라 헤매던 중 연극반에 들어갔다. 1학기엔 공연 생각 하고 방학중엔 공연 준비하고 2학기엔 공연 후유증에 시달리며 의대 6년을 보냈다. 희곡작가 이윤택과 이만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궁금증이 심화되어 그 답을 찾고자 정신의학을 전공한 후 지금은 심리극을 비롯한 예술치료 주변을 배회하고 있다.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 대학원 등에서 강의했고 도봉 알코올상담센터장을 지냈으며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기획이사를 맡고 있다. 한미수필문학상 우수상(06년, 09년)을 받았고 현재 제주도에서 새로운 변화를 꿈꾸며 고신경정신과의원 공동원장으로 근무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삶의 희곡, 심리학을 만나다 4
1장 내 안의 잠든 나를 깨워라 : 잃어버린〔자아〕찾기
운명의 굴레와 인간의 의지-밤주막(막심 고리끼) 22
현대인의 나약한 자아에 대한 성찰-고도를 기다리며(사무엘 베케트) 46
자아의 정체성과 자유를 찾아서-인형의 집(입센) 73
참됨의 의미 찾기에 대한 보고서-맹진사댁 경사(오영진) 97
2장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길을 잃다 : 타인과의〔소통〕부재
현실과 욕망 사이에서 길을 잃다-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테네시 윌리엄스) 122
위선의 늪에서 외로워지는 사람들-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테네시 윌리엄스) 146
일상의 무기력이라는 칸 속에 갇히다-원고지(이근삼) 170
가장 가까운 인연, 가족과의 단절-잘 자요, 엄마(마샤 노먼) 191
3장 사랑에 웃고 우는 삐에로는 외롭다 :〔사랑〕에 얽매인 상처
질투에 사로잡힌 영혼-오셀로(셰익스피어) 216
우리가 사랑이라 믿는 것들에 대한 통찰-클로저(패트릭 마버) 238
권태, 상실, 절망… 시간은 지금의 사랑을 어떻게 기억할까? 세 자매(안톤 체홉) 263
엇갈린 사랑의 혼돈-한여름밤의 꿈(셰익스피어) 287
4장 자신만의 인생 템포와 리듬을 만들어라 : 보다 나은〔인생〕을 위하여
궤변으로 물든 세상에 던지는 풍자-구름(아리스토파네스) 308
돈에 빼앗긴 삶의 가치-수전노(몰리에르) 332
인륜과 죽음 앞에 선 본성-알케스티스(에우리피데스) 355
삶의 길을 묻는 그대에게 노년이 보내는 편지-세일즈맨의 죽음(아서 밀러) 376